게다가 이로 인한 ‘자궁적출’과 ‘난소적출’을 병원에서 권유 받는다면
수술에 대한 부담감, 후유증 등으로 걱정이 커질 수 있습니다.
자궁혹 진단 받으셨나요?
자궁에 혹이 발견되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악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악성 혹
악성 혹(종양)이란 암을 의미하고,
점점 퍼져서 결국 생명을 앗아가는 질환입니다.
자궁에 생기는 악성 혹으로는
자궁경부암과 자궁내막암, 자궁육종이 대표적입니다.
악성종양이 의심되는 자궁 혹은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자궁적출, 혹은 그 이상의 치료 방법을 시행해야 합니다.
양성 혹
양성 혹은 악성 혹처럼 몸에 점점 번지는 성질이 없고,
자궁에만 국한되어 존재하게 되고 대표적으로
자궁근종, 자궁선근증이 있습니다.
치명적인 질환은 아니지만, 생리통, 골반통, 부정출혈 등
일상 생활의 불편감, 통증 등을 동반하고
나아가 난임, 불임 등을 초래할 수 있어 병변의 상태를 파악한 후, 적절한 치료 계획이 필요합니다.
수술 치료 비수술 치료
수술 치료
비수술 치료
과거엔 자궁 혹이 발견되면 자궁적출술로 자궁 자체를 제거하는 치료를 시행했지만,
최근엔 자궁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한 수술 치료, 비수술 치료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는
자궁근종/선근증 절제술이 있습니다.
개복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술치료로 복강경, 로봇복강경 등이 대표적입니다.
자궁근종을 외과적으로 제거하고, 정상 자궁근육조직의
손상을 막기 위해 떼어낸 자리는 봉합사(실)로 봉합하여
마무리합니다.
비수술적 치료는
영상장비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며
바늘, 카테터 같은 특수한 도구를 이용하여 자궁 혹을 괴사 시키는
비침습, 중재적 치료입니다. 비수술 치료로는 열을 이용해
혹을 괴사 시키는 고주파용해술, 하이푸와
혈관을 막아 괴사 시키는 자궁동맥색전술이 대표적입니다.
자궁과 마찬가지로,
난소에 혹이 발견되었을 때
혹을 악성과 양성으로 구분하여
병변을 확인합니다.
난소혹 진단 받으셨나요?
악성 난소혹
난소 표면인 상피세포에서 기원하는 경우가 90%인데,
난소암 발견 당시엔 이미 주변 장기, 상복부 등으로
퍼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기적인 검사가 없다면
난소암은 초기에 발견하기 어려운 편이며,
복부 팽만감, 커다란 종괴, 복수 등이 생겼다면
중기를 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양성 난소혹
혹 안이 액체로 차 있어 ‘난소낭종’이라고도 부르며,
액체의 종류에 따라 장액성낭종(물과 비슷한 점성),
점액성낭종(젤리와 비슷한 점성), 자궁내막종(생리혈이 찬 낭종),
기형종(기름과 같은 액체, 머리카락, 뼈 등 고형성분) 등으로 구분됩니다.
생명에 지장은 없지만, 생리통, 골반통, 부정출혈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고, 난소의 기능을 저해하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 치료 비수술 치료
수술 치료
비수술 치료
난소암인 경우, 자궁과 난소, 그리고 전이된 모든 난소암 조직을 최대한 제거해야 합니다.
반면에 양성의 난소혹인 경우, 난소를 최대한 보존하기 위한 수술 치료, 비수술 치료 방법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방법으로 난소낭종 절제술(복강경, 로봇복강경 등)이 있는데,
가급적 정상 난소조직을 남기고 난소혹 만을 제거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다만 혹만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정상 난소조직의 일부분이 혹과 함께 제거되어
난소기능 저하가 불가피합니다.
조직검사로 비교적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지만
난소기능 저하로 인한 조기 폐경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난소낭종 비수술적 치료는
주삿바늘을 넣어 낭종을 채우고 있는 내용물을 제거하고
경화제로 낭종에 분포되어 있는 세포들을 괴사시키는 ‘경화술’이 대표적입니다.
개복 없이, 난소 기능을 유지, 보존하여 치료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조직검사가 불가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때문에 사전에 난소종양표지자검사, 골반MRI 검사 등을 시행하여 악성/양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